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by Info Ocean 2023. 5. 3.

프리랜서-종합소득세-썸네일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프리랜서로 일하는 분들은 비정기적인 소득이 있다면 굳이 신고하지 않아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그렇지만 프리랜서라도 꼭 종합소득세는 꼭 신고하셔야 하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생기는 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안하면 생기는 일

프리랜서로 일하는 경우 소득이 일정치 않고 금액이 많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정도의 금액이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아도 괜찮을 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프리랜서 일을 하더라도 종합소득세는 신고해야 합니다. 5월은 정기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인데요. 이 시기를 놓치지 말고 2022년 소득을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많은 프리랜서 근로자들이 지금까지 내지 않았는데 예전 소득은 신고해야 하는지 궁금해하십니다. 예전에 얻은 소득도 늦지 않게 신고하시길 권장합니다. 지금 당장은 아무 일이 없더라도 신고하지 않았던 소득을 나중에 국세청이 알게 되면 가산세를 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가산세를 납부해야 한다.

5월 정기 신고기간을 놓치면 국세청에서 무신고 가산세를 부과합니다. 무신고 가산세는 납부 세액의 20%인데 결코 무시할만한 금액이 아닙니다. 그렇다고 몇 개월 내에 납부하면 되면 되지 않나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요. 납부지연 일수만큼의 납부지연 가산세가 매일 추가되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납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납부세액은 정해져 있지만 무신고 가산세와 납부지연 가산세가 더해지면 시간이 지날수록 가산세는 불어나게 됩니다.

 

  • 무신고 가산세 : 납부 세액의 20%
  • 납부지연 가산세 : 미납일 수 × 0.022%

 

만약 기한 후 신고도 하지 않게 되면 전년도 소득이 확정되지 않아서 금융업무에 지장이 생깁니다. 전세대출, 신용대출을 받을 수 없게 되고 각종 정부 지원금을 신청할 때 제대로 심사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 가산세 폭탄은 덤으로 따라오겠죠.

 

 

2.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입니다. 반드시 이 기간에 신고를 마치길 권장드려요. 혹시 정기 신고를 놓쳤다면 6월 1일부터 기한 후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이 기간에라도 최대한 빨리 신고를 마치셔야 합니다.

 

  • 정기 신고 기간 : 2023년 5월 1일 ~ 31일
  • 기한 후 신고 기간 : 2023년 6월 1일 ~ 11월 30일
    • 1개월 이내 : 무신고 가산세 50% 감면
    • 1 ~ 3개월 이내 : 30% 감면
    • 3 ~ 6개월 이내 : 20% 감면

 

 

3.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거주지 관할 세무서에 방문해서 하는 방법과,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하는 방법 그리고 신고 도움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1. 주소지 관할 세무서에 방문해서 직접 신고한다.

거주지 관할 세무서에 방문해서 직접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세무서에는 직원이 있어서 모르는 부분이 있는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꼼꼼하게 일처리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5월 종소세 신고 시기에 일이 많이 몰리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인 부분은 도움을 주지만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절세 부분은 꼼꼼한 도움을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2. 홈택스에서 셀프로 신고서를 제출한다.

홈택스 사이트에서 직접 신고하는 방법입니다. 소득세 신고 경험이 있다면 무리 없이 할 수 있죠. 그렇지만 어쨌거나 셀프로 하다 보면 많은 경험이 있더라도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영수증 등 증빙서류를 꼼꼼하게 챙겨야 하고 매출, 경비처리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비용이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번거롭습니다. 또 한 가지 단점은 절세할 수 있는 부분을 놓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직접 신고했을 때와 세무사에게 맡겼을 때 환급 액수 차이가 나는 이유입니다. 

 

최근 세무사에게 맡기지 않아도 세금 신고를 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이 출시되었습니다. 여러 서비스 중에 가장 만족도가 높은 SSEM을 추천드립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서 제출까지 10분도 걸리지 않으며 굉장히 저렴하게 일을 끝낼 수 있습니다.

 

 

3. SSEM으로 저렴하고 간편하게 신고한다.

SSEM은 출시 5년 만에 100만 회 이상 누적 다운로드 수를 달성했습니다. 절차가 간편하고 수수료가 33,000 원으로 저렴해서 요즘 자영업자 대표님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빠르게 퍼지고 있는 앱이죠.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하는 경우 비용은 들지 않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고 환급금을 적게 돌려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무사에게 의뢰하면 일이 쉽게 처리되고 절세에 유리하지만 상담료와 20만 원 상당의 수수료가 부담이 됩니다. 반면에 SSEM 종합소득세 신고 서비스는 33,000 원의 수수료만 내면 최대한의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으면서 모든 과정을 10분 안에 끝낼 수 있습니다.

 

세금을 잘 모르더라도 확실하게 처리해야 하는 사업자 분들에게 정말 큰 도움이 되죠. 맡길 수 있는 부분은 확실하게 맡기면서 사업에만 집중하고 싶으신 대표님들은 SSEM으로 2023년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보시길 적극 추천드립니다. 수수료를 결제하지 않더라도 세액 계산결과와 환급 금액까지 무료로 확인할 수 있으니 지금 바로 조회해 보세요!

 

 

 

 

 

댓글